주의사항
해당 문서는 중요 변경 작업 중에 있습니다. 일부 문서에 텍스트가 빠져있거나, 불어로 플레이스홀더(placeholder) 자리차지만 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리보그 경로를 막는 벽 외에도, 다양한 객체를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이미지가 많다.
리보그는 다양한 객체와 상호작용 할 수 있다.
리보그는 take() 와 put() 함수를 사용해서 다음에 나오는 객체를 집거나 놓을 수 있다.
특히, 리보그가 가장 좋아하는 객체는 토큰 이다.
사람 대부분이 가치가 없다는 것을 제외하면, 토큰은 웃는 얼굴을 갖는 동전 같다; 리보그는 가치가 없다는 점에 대해서 다르게 생각한다.
만약 객체가 하나 이상 있고, 어떤 객체를 take() 해서 집거나, put() 해서 내려놓을지 명시해야 되면, 문자열로 객체 명칭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put("token") 혹은 take('token'). [짝만 맞기만 하면, 이중 인용부호든 단일 인용부호든 사용가능하다.]
토큰외에도, 리보그는 다양한 과일, 꽃, 도형 등과 상호작용 할 수 있다. [많은 이미지는 http://openclipart.com 사이트에서 가져왔다]
사과-apple: | ![]() |
---|---|
바나나-banana: | ![]() |
당근-carrot: | ![]() |
데이지꽃-daisy: | ![]() |
민들레-dandelion: | ![]() |
낙엽-leaf: | ![]() |
오렌지-orange: | ![]() |
딸기-strawberry: | ![]() |
튤립-tulip: | ![]() |
정사각형-square: | ![]() |
별-star: | ![]() |
삼각형-triangle: | ![]() |
상기 객체가 순전히 장식 객체로 그려질 수 있다. 장식으로 그려진 경우, 리보그는 장식객체와 상호 작용할 수 없고, 작업이 완수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때 고려되지 않는다.
해당 지점에서 발견한 “정상” 객체 갯수는 표식되는 반면에, 장식 객체에는 숫자가 없다.
잔디-grass: | ![]() ![]() |
---|---|
자갈-gravel: | ![]() |
물-water: | ![]() |
진흙-mud: | ![]() |
벽돌벽-brick wall: | ![]() |
얼음-ice: | ![]() |
정규 객체처럼, 특수 객체는 배경 타일 위에 그려진다. 하지만, 리보그가 특수 객체를 집을 수는 없고, 타일에 대한 예상 행동을 변경할 수 있다.
다리-bridge: | ![]() |
---|---|
담장-fences: | ![]() ![]() ![]() ![]() |
상자-box: | ![]() |
리보그는 최종 지점에 도착하거나 특정 지점에 특정 객체를 놓는 것처럼, 특정 목적을 완수할 수 있다. 객체 하나(혹은 그 이상)를 특정 지점에 놓아야 됨을 표기하기 하는데, 다음과 같은 회색 이미지가 사용된다.
리보그가 정해진 최종 지점에서 작업을 끝마쳐야 됨을 표기하는데, 다음 이미지 중 하나가 사용된다.